Products

제품소개

[CST] SignalStar™ Multiplex IHC│Spatial Biology 연구 솔루션

2025-08-22

 

 

Spatial Biology 란?

조직 내에서 세포, 유전자, 단백질 등의 생체분자들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연구 분야

* 특징
– 세포 간의 공간적 관계 파악 가능
– 미세환경 및 조직 구조에 따른 분자 발현의 위치 정보 제공
– 종양 미세환경(TME), 면역세포 분포, 조직 병리학 연구 등에서 필수적

왜 SignalStar™가 Spatial Biology에 중요한가?

SignalStar™는 기존 mIHC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Multiplex IHC 기술로,
동시 다중 염색(Multiplexing)과 비파괴적 형광 제거 기술(Non-destructive Signal Removal)을 통해,
조직 손상 없이 고해상도 다중 마커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Spatial Biology의 정밀도와 효율을 극대화

mIHC의 한계점

동시 염색 마커 수의 제한

형광 채널 간 스펙트럼 중첩(cross-talk) 문제로, 일반적으로 3~5개 마커만 안정적인 분석 가능

Epitope 손상 가능성

반복적인 항체 염색 및 제거 과정에서 epitope가 변형되거나 소실될 수 있음

신호 제거의 한계

일부 방식은 형광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거나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음

이미징 및 분석 속도 저하

반복적인 염색-스캔-제거 과정으로 전체 프로세스가 복잡함

샘플 소모

반복 분석 시 샘플이 소모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큼

SignalStar™ 특징

🔬 최대 8개의 Target Protein을 동시에 시각화

– 2일 내 분석 완료

– FFPE 조직에서 높은 민감도와 재현성 보장

빠른 결과

– 기존 mIHC 대비 최대 70% 빠른 결과 획득

– 별도 Panel 최적화 없이 즉시 사용 가능 (Ready-to-go panel)

🔁 유연한 Panel 설계

– 실험 목적에 따라 타겟 변경 및 재설계 가능

– CST의 온라인 Panel Builder를 통해  손쉽게 디자인 가능

🧪 강력한 신호 증폭

– 희귀 타겟 단백질도 선명하게 검출

🧫 항체 동시 적용 및 비파괴적 형광 제거

– Oligo-conjugated Antibody 사용
→ 최대 8개의 항체를 조직에 동시 처리
→ Epitope 손상 및 Masking 없이 안정적인 신호 확보 가능

– 형광은 항체가 아닌 Oligo Probe에 결합
→ Imaging 후 형광 Oligo만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조직 및 항체 구조 유지

– 2회 Imaging Round를 통해 형광 파장 재사용 가능
→ 최대 8plex 구성 가능 (4 + 4 타겟)

🖥️ 기존 형광 현미경 그대로 사용 가능

– 488, 594, 647, 750nm 채널 활용

– 별도 장비 교체 없이 기존 Imaging 시스템과 호환 가능

Workflow

 

 

 

 

 

#CST #SignalStar #MultiplexIHC #SpatialBiology #IHC #mIHC #FFPE #PanelBuilder #OligoAntibody #신호증폭 #형광이미징 #형광현미경 #8plex #바이오마커분석 #종양미세환경
#면역세포분포 #조직병리학 #단백질분석 #생체분자 #형광제거기술 #다중염색 #CST공식대리점 #항체기술 #임상연구 #생명과학연구 #CancerResearch #Immunology
#서린바이오사이언스 #서린바이오 #CST대리점 #서린바이오CST